“운동이 좋다는데, 무조건 많이 하면 괜찮겠죠?”
“관절에 좋은 운동이라면 무조건 걷기 아닐까요?”
과연 정말 그럴까요?
특히 중년 이후 류마티스 관절염을 앓고 있다면,
‘누구에게나 좋은 운동’은 없을 수 있습니다.
오늘은 많은 분들이 ‘좋다’고 믿는 운동 중에서
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게는 오히려 해로울 수 있는 것들을 짚어드릴게요.
계단 오르기 – 관절 자극이 너무 강해요
계단 오르기는 허벅지 근육 강화에 좋다고 널리 알려졌죠.
하지만 무릎과 발목에 체중이 직접적으로 실리는 운동입니다.
특히 무릎 관절에 염증이 있는 류마티스 환자의 경우,
계단을 오르내릴 때 관절 압력이 2~3배 이상 증가해
통증이 심해지고 염증이 악화될 수 있어요.
대신 수평 걷기 또는 실내 자전거처럼
충격을 줄이면서도 운동 효과를 낼 수 있는 대체 운동을 권합니다.
팔굽혀펴기 – 어깨와 손목에 무리 가는 대표 동작
팔굽혀펴기는 전신 근육을 강화하는 좋은 운동입니다.
하지만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게는 손목과 어깨 관절에 심한 압력을 주는 운동이에요.
특히 손가락이나 손목 관절에 염증이 있는 경우,
이 동작을 반복하다 보면 손목 변형이 생기거나
염증이 심해질 위험이 큽니다.
그 대신 벽을 짚고 하는 벽 팔굽혀펴기나
가벼운 고무밴드를 활용한 팔 운동으로
부담 없이 근력을 유지하는 게 좋아요.
무릎 꿇는 요가 자세 – 관절 압박 주의!
요가는 유연성과 근력을 기르는 데 좋지만,
모든 동작이 안전한 건 아닙니다.
예를 들어 무릎을 꿇거나 깊이 접는 자세는
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게는 관절에 강한 압력을 가할 수 있어요.
특히 무릎 주변 연골이 약해진 상태에서
이런 동작을 반복하면 연골 손상이나
관절강 내 염증 증가로 이어질 수 있죠.
이럴 땐 누운 상태에서 호흡에 집중하는 스트레칭 요가나
부드러운 회전 동작 중심의 요가가 더 적합합니다.
‘좋은 운동’도 몸 상태에 따라 다릅니다
운동은 분명히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게 도움이 됩니다.
하지만 모든 운동이 무조건 좋은 건 아니에요.
관절에 염증이 있거나,
통증이 심할 때는 오히려 무리한 운동이
관절 손상과 증상 악화를 유발할 수 있어요.
그래서 다음과 같은 원칙을 기억하세요.
- 통증이 없는 범위에서만 움직이기
- 저강도, 반복성 운동 중심으로
- 운동 전후에 반드시 관절 스트레칭과 온찜질
말 그대로 운동도 “내 몸이 좋아하는 방식으로”
바꿔나가야 하는 시기입니다.
더 나은 선택은, 내 몸을 아는 것부터입니다
누구나 운동은 좋다고 하지만,
지금 내 관절은 어떤 상태인지 먼저 살피는 것이 우선입니다.
내 몸에 맞는 운동을 선택하고,
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실천하는 것.
그게 진짜 건강한 운동이에요.
관련된 내용을 좀 더 알고 싶다면 추천글을 읽어 보세요.
'통증 및 근골격계 > 류마티스관절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중년 류마티스 환자들이 자주 묻는 질문 TOP 7 (0) | 2025.06.20 |
---|---|
류마티스 관절염, 단순히 노화 탓이 아닙니다 (0) | 2025.06.19 |
류마티스 관절염, 스트레스가 악화시키는 이유 (1) | 2025.06.19 |
류마티스 관절염 진단받았다면, 당장 피해야 할 행동 (0) | 2025.06.19 |
관절이 붓고 열이 나요 – 류마티스 관절염 증상일까요? (0) | 2025.06.19 |